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금 소멸시효가 지나도 체불임금을 받는 방법(소멸시효와 공소시효)

반응형

임금 소멸시효가 지나도 체불임금을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1. 임금의 시효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Y노무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먼저 임금(퇴직금) 채권의 소멸 시 효과 임금체불의 공소시효라는 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임금채권의 소멸시효가 지나도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2.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란 무엇일까?


   소멸시효의 뜻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란 쉽게말해 임금을 받지 못한 사람이 임금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이 지나버리면 임금채권은 소멸되어, 근로자는 임금을 받지 못했더라도 더 이상 임금을 달라고 요구할 수 없게 됩니다.

 

   소멸시효의 기간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 따라서 임금, 혹은 퇴직금을 받지 못한 채로 3년이 지나면 회사에게 더 이상 돈을 달라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소멸시효의 기산점

월급은 정기지급일, 퇴직금은 퇴직한 날,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은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이 발생한 날이 기산점이 되어 이 날부터 3년까지가 임금채권의 소멸시효입니다.

 

   소멸시효의 중단사유

채권자(근로자)가 일정한 행위를 하는 경우 소멸시효 3년은 중단되게 됩니다. 소멸시효의 중단사유로는 청구, 압류, 가압류, 가처분 및 승인을 두고 있습니다.

더보기

-청구-

재판상 청구, 파산절차참가, 지급명령, 화해를 위한 소환, 임의출석 및 최고가 <청구>에 해당합니다.

다만 최고는 6개월 내에 재판상의 청구, 파산절차참가, 화해를 위한 소환, 임의출석,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을 하지 않으면 시효중단의 효력이 없습니다.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

압류, 가압류 및 가처분은 권리자의 청구에 의해 또는 법률의 규정에 따르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취소된 때에는 시효중단의 효력이 없습니다.

압류, 가압류 및 가처분은 시효의 이익을 받은 자에 대해 하지 않은 때에는 이를 그에게 통지한 후가 아니면 시효중단의 효력이 없습니다.

-승인-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는 승인에는 상대방의 권리에 관한 처분의 능력이나 권한을 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문의 또는 노동청 진정·고소 등 신고사건 제기만으로는 시효가 중단되지 않는다는 점 반드시 유념하셔야 합니다. 노동청 진정을 넣기만 해도 시효가 중단되는 줄 알았다가 아무것도 받지 못한 채로 끝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시효를 중단시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내용증명을 보내는 것인데, 내용증명은 '최고'의 효력밖에는 없어서 내용증명을 발송한 뒤 6개월 이내에 민사소송등을 거셔야 완벽하게 시효중단의 효력이 발생하고, 내용증명만 보낸 상태는 불완전한 시효중단입니다.

 

그러나 보통 노동청 진정사건은 아무리 길어도 6개월은 안 걸리기 때문에, 시효가 아슬아슬하다 싶으면 일단 내용증명만 보내는 것도 충분히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03. 임금체불의 공소시효란 무엇일까?


   공소시효의 뜻

임금체불의 공소시효는 임금을 체불한 사업주가 적발 시 처벌을 받게 되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사업주가 임금체불을 하였어도 공소시효 내에 걸리지만 않으면 처벌을 받지 않게 되는 처벌 제한기간의 개념입니다.

 

   임금체불 형사처벌

임금체불은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징역까지는 거의 안 가고 대부분 벌금단계에서 끝납니다.

 

   공소시효의 기간

임금체불의 공소시효는 5년입니다. 5년이 지나면  사업주는 임금체불을 한 것이 적발되어도 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공소시효의 기산점

소멸시효와 동일합니다.

 

         04. 임금 소멸시효가 지나도 체불임금을 받는 방법


   공소시효를 따지는 실익

이 포스팅에서 소멸시효뿐 아니라 공소시효도 다루는 이유가 뭔지 아시나요?

소멸시효가 지나 돈은 못 받게 생겼는데, 사업주가 미워서 어떻게든 처벌이라고 받게 하려고 다루는 것일까요?

아직 도과하지 않은 공소시효를 근거로 사업주에게 체불된 임금을 요구할 근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소멸시효는 지났지만 공소시효가 남아있는 경우

예를 들어 임금체불이 발생하고 아무 일 없이 4년 정도가 지난 경우, 소멸시효가 지났다는 사실에 망연자실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소시효가 남아있고, 바로 이것을 근거로 사업주와 합의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어떻게 임금채권의 소멸시효 개념까지는 알고 있는 사업주는 3년이 지났다는 사실을 알고 안도하며, 거만한 자세로 근로자에게 임금채권의 소멸시효가 지났으니 단 한 푼도 줄 수 없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건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입니다. 

 

   사업주를 협상테이블에 앉히기

공소시효 5년이 지나지만 않았다면 근로자는 여전히 임금체불을 이유로 노동청에 사업주를 임금체불로 신고(고소)할 수 있습니다.

체불한 것이 확실하다면, 사업주는 처벌을 면하기 어렵습니다.

 

이 사실을 주지 시킬 때, 사업주는 어쩔 수 없이 협상테이블로 나오게 됩니다.

체감상 이때 사업주는 '공소시효'와 '처벌'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하게 되어 오히려 임금체불 진정을 받았을 때보다도 더 긴장한다고 느꼈습니다.

 

결국 근로자는 어차피 못 받게 된 돈 상대를 신고 하느냐 마느냐의 슬픈(?) 꽃놀이패를 쥐게 되며, 사업주는 반대의 입장에 서게 됩니다.

당장 형사처벌을 받게 생겼는데 요구조건을 들어보지도 않고 배 째라 하는 사업주는 여태껏 본 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근로자는 소멸시효가 지나더라도 사업주에게 처벌을 면하게 해 줄 수 있는 '면죄부'를 들고 협상하여 체불된 임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임금체불 당했을 때 해결방법

 

임금체불 당했을 때 해결방법

1. 임금체불이란 2. 임금체불 해결방법 3. 임금체불 고용노동부 신고(진정)의 절차 4. 형사처벌 및 체불임금 확보 5. 노동부 임금체불 절차중 알아두면 좋은것 |임금체불이란 임금체불은 근로자에

careerman.tistory.com

개인노무상담주소

 

개인노무상담주소

개인상담 https://kmong.com/gig/485959

careerman.tistory.com

 

반응형